봄 시 138

우리가 가난한 연인이었을 때-이근화

우리가 가난한 연인이었을 때 - 이근화 - 시커멓게 볶은 오뎅과 쭈글쭈글 조려진 꽈리고추로 밥을 먹었다 숟가락 젓가락 하나씩 나눠 들고 못생긴 감자를 파먹었다 우리가 가난한 연인이었을 때 푸른 곰팡이 붉은 곰팡이도 꽃이었다 아무 데서나 마음이 꺾였고 은화를 줍듯 공들여 걸었다 긴 겨울밤을 자전거로 달렸다 쉭쉭 황소 같은 숨을 멈추고 얼음장을 들어 올렸다 두 손을 어찌할 줄 몰랐다 우리는 계속 가난한 연인이었고 돌아가는 바퀴가 우습고 질겼으며 출몰하는 다람쥐가 모두 새끼였다 가여웠다 쓰라렸다 우리가 가난한 연인으로서 별을 서로 만나게 했을 때 보라색 구름을 이어 붙일 때 골목길에서 딱딱한 어둠을 차버렸을 때

카테고리 없음 2014.03.17

봄 길-정호승

봄 길 - 정호승-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봄길이 되어 끝없이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강물은 흐르다가 멈추고 새들은 날아가 돌아오지 않고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꽃잎은 흩어져도 보라 사랑이 끝난 곳에서도 사랑으로 남아 있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사랑이 되어 한없이 봄 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2013년 민들레! 하루 종일 봄 비가 내립니다 차분해지고, 휴식이 있는 느낌입니다 시골에 가 보니 분주한 봄 준비에서 모두가 쉬시는 분위기였습니다 이 비가 끝나면 여기저기서 아우성이 터지겠죠? 꽃, 풀,,,,, 아름다운 상상을 하면서 쉬렵니다 행복한 저녁되세요

2014.03.12

경칩 - 박성우 -

경칩 - 박성우 - 봇물 드는 도랑에 갯버들이 간들간들 피어 외진 산골짝 흙집에 들었다 새까만 무쇠솥단지에 물을 서너 동이나 들붓고 저녁 아궁이에 군불 지폈다 정지문도 솥뚜껑도 따로 닫지 않아, 허연 김이 그을음 낀 벽을 타고 흘렀다 대추나무 마당에는 돌확이 놓여 있어 경칩 밤 오는 비를 가늠하고 있었다 긴 잠에서 나온 개구락지들 덜 트인 목청을 빗물로 씻었다 황토방 식지 않은 아침 갈퀴손 갈큇발 쭉 뻗은 암수 개구락지 다섯 마리가 솥단지에 둥둥 떠 굳어 있었다 아직 알을 낳지 못한 암컷의 배가 퉁퉁 불어 대추나무 마당가에 무덤이 생겼다 (페친이 보내준 사진) 개구리가 나온다는 경칩입니다 꽃샘추위가 찿아왔지만 봄은 가까이 왔습니다 행복한 봄 맞으세요

농부이야기 2014.03.06

3월의 시 모음

3월/오세영 흐르는 계곡 물에 귀기울이면 3월은 겨울옷을 빨래하는 여인네의 방망이질 소리로 오는 것 같다. 만발한 진달래 꽃숲에 귀기울이면 3월은 운동장에서 뛰노는 아이들의 함성으로 오는 것 같다. 새순을 움 틔우는 대지에 귀기울이면 3월은 아가의 젖 빠는 소리로 오는 것 같다. 아아, 눈부신 태양을 향해 연녹색 잎들이 손짓하는 달, 3월은 그날, 아우내 장터에서 외치던 만세 소리로 오는 것 같다. 3월/나태주 어차피 어차피 3월은 오는구나 오고야 마는구나 2월을 이기고 추위와 가난한 마음을 이기고 넓은 마음이 돌아오는구나 돌아와 우리 앞에 풀잎과 꽃잎의 비단방석을 까는구나 새들은 우리더러 무슨 소리든 내보라 내보라고 조르는구나 시냇물 소리도 우리더러 지껄이라 그러는구나 아, 젊은 아이들은 다시 한번 새..

2014.03.03

봄에 읽는 시 -이해인 수녀님 -

봄이 오는 길목에서/ 이해인 하얀 눈 밑에서도 푸른 보리가 자라듯 삶의 온갖 아픔 속에서도 내 마음엔 조금씩 푸른 보리가 자라고 있었구나 꽃을 피우고 싶어 온몸이 가려운 매화 가지에도 아침부터 우리집 뜰 안을 서성이는 까치의 가벼운 발결움과 긴 꼬리에도 봄이 움직이고 있구나 아직 잔설이 녹지 않은 내 마음의 바위 틈에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며 일어서는 봄과 함께 내가 일어서는 봄 아침 내가 사는 세상과 내가 보는 사람들이 모두 새롭고 소중하여 고마움의 꽃망울이 터지는 봄 봄은 겨울에도 숨어서 나를 키우고 있었구나. 봄이 오면 나는 / 이해인 봄이 오면 나는 활짝 피어나기 전에 조금씩 고운 기침을 하는 꽃나무들 옆에서 덩달아 봄앓이를 하고 싶다. 살아 있음의 향기를 온몸으로 피워 올리는 꽃나무와 함께 나도 ..

2014.03.02

그래요 - 김용택 시인 -

그래요 / 김용택 꽃이 피면 뭐 한답뎌 꽃이 지면 또 어쩐답뎌 꽃이 지 혼자 폈다가 진 사이 나는 그 사이를 오가며 살았다오 꽃 피고 지는 일 다 다지금 일이지요 겁나게 질고 진 봄날이었구만요 산이 무너지고 디딘 땅이 캄캄하게 푹 꺼지는 줄만 알았지요 그래요 봄에만, 죄가 꽃이 되지요 누구든 다 그렇게 버릴 수 없는 빈 꽃가지 하나씩 마음에 꽂아두고 그래도 이렇게 또 오는 봄 가는 봄을 살지요 행복할 때는 행복에 매달리지 마라. 불행할 때는 이를 피하려 하지 말고, 그냥 받아들이라. 그러면서 자신의 삶을 순간순간 지켜보라. 맑은 정신으로 지켜보라 -----법정 스님의 아름다운 마무리 중 삶의 기술에서 ---

농부이야기 201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