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는 입구에 세심동(洗心洞)이란 글귀가 새겨져 있다. 마음을 씻으며 개심사로 올라가는 길은 돌계단으로 이뤄진 산길이다. 조금 숨이 차지만 아름다운 숲길을 걷다 보면 나도 모르게 마음이 정화되는 기분이 든다. 개심사의 창건은 백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지금의 개심사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조선시대다. 안양루에 걸린 상왕산 개심사라는 현판은 근대 명필가 해강 김규진의 글씨로 알려져 있다. 개심사는 대한 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다. 기록에 따르면, 651년 혜감국사가 창건하고 개원사라 부른 것을 1350년 처능대사가 중창하면서 개심사로 고쳤다. 그 후 1475년 중창, 1955년 전면 보수했다. 보물제 143호로 지정된 대웅전과 충남문화재자료 제 194호인 명부전 및 심검당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