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산행일시: 2016.04.240, 동행 : 홍성토요산악회 0, 산행경로 : 유가사- 비슬산-유가사의 원점회귀0, 산행시간 : 5시간(휴식과 간식 포함)0, 진달래 개화 상태 : 하단부는 비와 바람으로 낙화, 상단부는 80% 개화, 진달래 군락지는 50% 개화 [명칭 유래]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달성군지』에는 비슬산을 일명 포산(苞山)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포산은 수목에 덮여 있는 산이란 뜻이다. 『내고장 전통 가꾸기』(1981년 간행)에 보면 비슬산은 소슬산(所瑟山)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인도의 범어로 부를 때 일컫는 말이며 중국말로는 포산(苞山)이란 뜻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신라시대에 인도의 스님이 우리나라에 놀러 왔다가 인도식 발음으로 비슬(琵瑟)이라고 해서 이름을 붙였다고 기록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