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해이읍성의 연 날리기! 그때 그 사람은 어디에 있는가, 그때 그 젊고 아름답던 청년은 어디에 갔는가? 이제는 다시는 돌아오지 못한다 기쁜 우리들의 젊은 날은 저녁놀 속에 사라지는 굴뚝 위의 힌 연기와도 같았나니, --최인호님 글 가족 중에서-- 구름, 잔듸, 연,,,,! 해미읍성에서, 삶 2015.07.27
숨은 여행찿기, 황금산 대한민국 숨은 여행찿기(이성원 저)에 나오는 황금산 입니다 산이 높지는 않으나 바다에 인접하고, 몽돌해안, 코끼리바위, 행식동굴 등이 있는 곳, 서산 8경 중 하나인 황금산! 황금산 산행코스는 우선 4가지 입니다 주차장에서 삼거리 갈림길을 중심으로 왕복하는데 끝골로 가서 해변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해식동굴로 하산, 다시 코끼리바위로 가는 방법입니다 좀 위험하지만 해변 위로 군 초소들이 있고, 초소 주변으로 이동하는 길이 있습니다 그 길을 이용하면 삼거리를 기점으로 복귀하지 않해도 되니다 마지막으로 물때를 잘 보아서 해변으로 걸어서 일주하는 건데, 이곳 황금산은 돌이 푸석거려서 매우 미끄럽습니다 곳곳에 경고 표지판?도 많구요 끝골로 가서 로프를 타고 해안으로 내려가면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의 발길이 적어서 아.. 산 2015.06.10
아름다운 절, 개심사에서,,, 개심사를 다녀온지가 한 주가 지났습니다 아름다움과 소박한 멋을 간직한 사찰을 담아 보았습니다 방문 당시 비가 내리고, 왕벚꽃이 한창이었습니다 산 2015.05.09
개심사에 왕벚꽃 지던 날!! 어제 저녁부터 내린 비가 세상을 여유롭고, 촉촉하게 한다 지리산 산행 중 발목부상으로 병원으로, 집으로, 휴식한 몸이 근지럽다 내 안에 또 다른 내가 부추긴다 절대 안정이라는 힌까운 선생과 아내의 잔소리를 무시하고 나왔다 우산을 지팡이 삼아 개심사에 올랐다 무지 처량하게,,,,, 개심사에는 왕벚나무가 여러 나무 있다 수령이 아주 오래되어 꽃이 피면 가지가 무거워서 나무로 지지를 해주신다 가을에 과수원에서 보는 풍경과 흡사하다 꽃이 많이 졌다 그리고 비가 내려도 사람이 인산인해다 비오는 날 낙화가 아름답다 어린 선물께서도 완전무장을 하고 오셨다 꽃잎을 찿아 지우는 작업을 하신다 내 자신의 애들을 키울적에는 몰랐는데,,,, 지나고 나니 귀엽다 그리고 아쉽다 낙화落花 이형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 산 2015.05.05
비 내리는 간월암과 바지락! 봄 비가 하루 종일 내리는 날 입니다 점심을 하러 나왔다가 간월도 간월암에 들렸습니다 조용합니다 출입문 〔 서산간월암목조보살좌상 (瑞山看月庵木造菩薩坐像) 이 있는 간월암입니다 간월암 목조보살좌상은 양식적으로 볼 때 1600년 전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규모가 작은 삼존불상의 협시보살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에 높이 솟은 보계, 부드러운 옷주름 등에서 형식화하기 시작하는 임진왜란 이후의 보살상과 차별성이 있다. 〕- 문화재청 자료 해수관음전은 바다를 향하여 있습니다 기와불사에 각기 소망을 담아서 올렸습니다 모두 이루소서! 비를 흠뻑 맞은 수선화! 장승들,,, 간월암 전경! 바지락탕과 바지락해물칼국수! 살이 오른 바지락이 시원하고 담백합니다 어제 마신 술의 독을 풀어냅니다 문화재,명승,고적 2015.03.31
바지락칼국수 맛집(대박칼국수) 바지락조개의 효능 1. 빈혈 예방 가장 먼저, 바지락은 빈혈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혈기능을 하는 비타민 B 성분과 철분이 풍부한데요. 철분의 경우엔 바다의 꽃 '굴'보다 많이 함유되어있어 빈혈이 심한분들께 좋은 재료랍니다 2, 간기능 개선 바지락 효능의 두번쨰는, 간기능 개선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요. 베타인이라는 성분이 많아 간기능을 개선해 준답니다. 베타인이라는 성분은 '간'에 쌓이게 되는 지방들을 막아줌으로써, 간기능을 개선해 주는데요. 술 많이 마시는 분들은 매우 좋을듯! 3. 숙취 해소 대게 숙취 해소를 할 떄 좋은 음식으로 콩나물 국이나, 해장국을 많이 알고 계시죠? 바지락도 숙취 해소에 매우 좋은 효능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세요 바지락 효능에는 앞서말한 베타인과 타우린의 함.. 음식 2015.03.10
평안한 서산 개심사!! 【문화재청 개심사 대웅전 설명】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는데, 진덕여왕 5년(651)과 의자왕 14년(654)은 다른 해에 해당한다.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 14년(654)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1941년 대웅전 해체 수리시 발견된 기록에 의해 조선 성종 15년(1484)에 고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은 고쳐 지을 당시의 모습을 거의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개심사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이 건물은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이 조선 전기의 대표.. 산 201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