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게장, 참게탕 그리고 발효식품들음식 2021. 1. 30. 18:02
학명은 Eriocheir sinensis H. MILNE EDWARDS이다. 우리 나라 참게속에는 참게 이외에 동남참게·애기참게가 있다. 참게는 갑각길이 63㎜, 갑각너비 70㎜ 내외의 비교적 큰 게이다.
갑각은 둥그스름한 사각형이고 이마에 4개의 이가 있으며 집게다리는 억세게 생겼고, 손바닥의 앞면과 손가락 기부에 연한 털다발이 있다. 4쌍의 걷는 다리는 가늘고 길다. 이 종은 황해로 흐르는 크고 작은 하천 유역 특히 바다에 가까운 민물에서 살며, 산란 전인 가을철에 바다로 내려간다.
해변의 바다에서 산란, 포란하고 부화한 다음 유생(幼生)이 민물로 올라와 성장한다. 동남참게는 생김새가 참게와 매우 비슷하나 남해와 동해로 흐르는 하천 유역에서 산다. 애기참게는 참게에 비하여 매우 작고 황해 연안의 얕은 바다에서 산다.
≪동국여지승람≫의 토산란을 보면 해(蟹)는 강원도를 제외한 7도 71개 고을의 토산물이었다. 이 해는 거의 모두 참게와 동남참게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자산어보≫에서는 천해(川蟹)를 속명으로 참궤[眞觤]라 하고 “큰 것은 사방 3∼4치이고, 몸빛은 푸른검은색이다. 수컷은 다리에 털이 있다. 맛은 가장 좋다. 이 섬의 계곡 물에 간혹 참게가 있으며, 내 고향의 맑은 물가에 이 참게가 있다. 봄이 되면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 논두렁에 새끼를 낳고 가을이 되면 하천을 내려간다. 어부들은 얕은 여울에 가서 돌을 모아 담을 만들고 새끼로 집을 지어 그 안에 넣어두면 참게가 그 속에 들어와서 은신한다. 매일 밤 횃불을 켜고 손으로 참게를 잡는다.”고 하였다.
≪전어지≫에도 수수를 매달아 게(참게를 말함)를 잡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규합총서≫에는 적어도 20군데에 게가 나오는바 거의 모두 참게를 뜻하는 것 같으며, <주사의>에는 게 오래 두는 법, 술·초로 게젓 담그는 법, 소금으로 게젓 담그는 법, 장으로 게젓 담그는 법, 게 굽는 법, 게찜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참게는 고래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식용게였다. 특히 파주게가 유명하여 한때 파주군에서는 참게의 통조림을 만든 적이 있고, 1934년 8∼10월에는 41만 4258개체가 잡혔다.
(출처 : 다음백과)
충남 홍성군 금마면 홍양길 232 (우)32282지번금마면 장성리 28-7
홈 페이지
연락처 041-631-4007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나물 튀김으로 봄 시작 (14) 2022.03.18 스며드는 것 / 안도현 (2) 2021.09.13 참게장, 참게탕 그리고 발효식품들 (15) 2021.01.30 제철음식, 굴물회와 굴밥 (34) 2020.11.27 홍성 한우 맛집, 소담 (11) 2020.02.27 이른 봄에 가장 맛난, 남당항 새조개 드시러 오셔요 (18) 2020.02.21
맛있어 보입나다 홍게도 먹고 싶내요 ㅋㅋ😆
발효식품이 맛납니다 ㅎㅎ
오~~ 저희 처갓집하고 5분거리의 식당이네요~~ 맛집이라고 소문난곳 입니다~
여주인장이 허리가 아프셔서 얼마나 하시려나 합니다 ㅠㅠ
wow ! 밥 도둑 요리들이네요.
참게장정식 정말 좋아 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좋아합니다 작년에 방송인 허참씨 오셨길래 모셨더니 만족하시데요 ㅎㅎ
날거를 못먹으니 게장도 못먹는 아직도 어린이 입맛입니다 ㅠㅠ
앗, 발효식품이니 어떨까요? 뭐든지 날 것보다는 쪄야쥬 ㅎㅎ 요즘은 튀기고 굽는 것이 대세지만
참게탕.. 술안주로 좋더라구요
술이 깨지요 ㅎㅎ
밥도둑
먹어도먹어도 물리지 않는 맛인 것 같아요.^^
이 식당은 거의 3년 이상 발효된 것 입니다 좀 짠것이 단점인데 조미료가 안들어가서 담백합니다
참개...밥도둑이 따로 없겠는데요 ? ㅎㅎ
반찬이 조미료 없이 발효시킨 것으로 먹을만 합니다 특히 환자들 많이 오셔요
이런 맛집까지 소개하시다니요
잘봤습니다